공부해봅시당
[CS 기초] DSL(Domain-Specific Language) vs GPL(General Purpose Language) 본문
[CS 기초] DSL(Domain-Specific Language) vs GPL(General Purpose Language)
tngus 2023. 11. 3. 16:16
DSL(Domain-specific Language): 도메인 특화언어
정의
DSL은 특정 도메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
특정 작업이나 문제 영역에 대해 최적화되어 있음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짐
특정 기능이나 영역을 위해 만들어진 영역이고 아래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됨
- 소프트웨어 설정 설명
- 테스트 사양
- 작업 흐름 규칙 정의
- UI 디자인
- 데이터 조작
예
SQL(데이터베이스 쿼리), HTML(웹 페이지 구조), CSS(웹 디자인), R(통계 계산)
특징
- 특정 도메인에 최적화: 특정 작업이나 산업 분야에 맞춰져 있어 관련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 가능
- 짧은 개발 시간: 도메인에 특화되어 있어 해당 분야의 문제를 빠르게 해결 가능
- 직관적인 문법: 해당 분야의 전문 용어와 개념을 반영하여 전문가들이 이해하기 쉬운 구조를 가짐
장점
- 효율성: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춤 제작되므로, 그 문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
- 유지보수 용이: 도메인에 특화된 코드는 종종 더 명확하고 관리하기 쉬움
- 전문가 친화적: 도메인 전문가가 프로그래밍 전문 지식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음
단점
- 융통성 부족: 범용적인 문제 해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다른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유연하지 않을 수 있음
- 생태계 제한: DSL은 종종 좁은 범위의 사용 사례를 위해 개발되기 때문에, GPL에 비해 덜 활발한 개발 커뮤니티와 지원을 받을 수 있음
GPL(General Purpose Language):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정의
GPL은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
광범위한 적용 범위를 가지고 있음
다양한 도메인의 문제에 사용 가능
예
Python, Java, C++, JavaScript
특징
- 광범위한 사용: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 가능
- 유연성: 새로운 문제에 적응하고 다양한 요구 사항을 처리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짐
- 강력한 생태계: GPL은 종종 강력한 커뮤니티 지원,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를 가짐
장점
- 범용성: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하나의 언어로 많은 가능성 탐구 가능
- 자원의 풍부함: 강력한 커뮤니티와 풍부한 자료 지원으로 쉽게 배우며 문제 해결 가능
- 유지보수의 용이성: 넓은 사용자 기반으로 인해 정보 공유와 협력이 더 활발하고, 문제 해결 리소스가 풍부
단점
- 학습 곡선: GPL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학습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음
- 과잉 기능: 때때로 GPL은 간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너무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개발 과정이 불필요하게 복잡해질 수 있음
결론
DSL과 GPL의 선택은 개발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성격과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짐
단일 도메인에 집중된 프로젝트의 경우 DSL이 더 적합할 수 있으며, 범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는 GPL이 더 적절할 수 있음
https://doyeona.medium.com/domain-specific-languages-dacb18339907
Domain Specific Languages
도메인 특화언어Domain-specific language(DSL)는 특정 기능이나 영역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고 아래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doyeona.medium.com
'STUDY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기초] 스코프(Scope) (0) | 2023.11.06 |
---|---|
[CS기초] 렉시컬(lexical) 환경 (1) | 2023.11.03 |
[CS 기초] 스크립트 언어(Scripting Language) vs 컴파일 언어(Compile Language) (1) | 2023.11.01 |
[CS 기초] 정적 언어(Static Language) vs 동적 언어(Dynamic Language) (0) | 2023.10.24 |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절차적 프로그래밍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