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해봅시당
[쉽게 배우자! WEB] 서버(Server)에 대해 알아보자 1탄 본문
Server란?
먼저 Server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자.
Server란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서버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서버 소프트웨어라 한다.
- 위키백과
아주 잘 정의가 되어 있지만 우리는 좀 더 자세히, 그리고 천천히 이해해 보도록 하자.
영어적 의미의 Serve를 알아보자
먼저, 우리는 한 가지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누가 만든 것일까?
당연히 대답은 '사람'이다.
따라서 현실세계에서 사용되는 의미를 가져온 용어가 많다.
Server라는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너무 많이 들어서 익숙하지만, 막상 설명해보라고 하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할 것 같은 Server는 영어 단어 Serve에서 온 것이다.
영어 단어 Serve에는 '(식당 등에서 음식을) 제공하다, (음식을 상에) 차려 주다'라는 의미가 있다.
식당에서 음식을 가져다주는 종업원에게 서버라고 하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바로 Serve에 있는 의미에서 나오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음식점의 종업원이나 홀알바가 어떤 일을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비유의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0wqLOsVlE4)
음식점의 서버, 즉 종업원과 Server의 관계
음식점의 종업원과의 관계를 이야기 하기 이전에, 음식점의 오픈 때부터 일어나는 일을 순서대로 살펴보도록 하자
이제 막 개업한 음식점이 있다. 이 음식점에는 손님 1~2명을 받을 수 있는 테이블과 사장님 한 분이 계신다.
사장님은 음식점을 혼자 운영하시면서 음식도 만드신다.
손님께 음식을 제공하는 것도 사장님이다.
손님이 음식을 주문하면 사장님이 직접 요리해서 가져다 주는 것이다.
그런데 사장님이 요리를 정말 잘하시는 것이다!
그래서 알음알음 소문이 나서 테이블 한 개로는 감당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래서 사장님은 테이블을 늘려서 손님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는 종업원을 두기로 결정한다.
음식점의 종업원이라고 하면 주방장도 있을 것이고, 홀알바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홀알바를 생각해 보도록 하자.
여기서 중요한 점은 홀알바가 다수를 상대한다는 점이다.
바로, 1대 N의 관계이다.
서버도 이처럼 클라이언트와 1 대 N의 관계를 가지게 된다.
아래는 홀알바의 특징이다.
- 상시 대기를 한다
- 손님과 주방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 메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손님이 음식을 주문했을 때, 그 음식과 동일한 음식을 서빙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스테이크를 주문했으면 스테이크를 서빙하고, 파스타를 주문했으면 파스타를 서빙하는 것과 같은 것 말이다.
이것이 홀알바에게 기대하는 역할인 것이다.
서버도 홀알바처럼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홀알바는 단순히 제공하는 역할만 할까?
홀알바도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자.
홀알바가 음식 재료를 발주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고 해보자.
이때 발주사는 홀알바를 제외하고도 여러 손님들이 있을 것이다.
이때 홀알바는 손님, 즉 클라이언트가 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서버는 역할적인 개념이라는 것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관계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것이다.
맛집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주는 서버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여기서 서버가 맛집정보를 알기 위해 네이버에서 정보를 받아온다고 한다면 네이버가 서버가 되고 맛집정보를 전달하는 서버가 여기서는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이다.
우리가 밖에서는 학생이고, 집에서는 아들 혹은 딸이고, 일할 때는 직원인 것처럼 말이다.
여기까지 서버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시간에는 IDC와 랙형 서버, 타워형 서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0wqLOsVlE04
https://www.youtube.com/watch?v=R0YJ-r-qLNE
IDC란? – 한국데이터통신
IDC란? Categories / DASHBOARD By David Lee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 등을 제공하는 시설로, 서버를 한 데 모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을 때 설립한다 IDC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의 준
kdtidc.kr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inxtime&logNo=220648265067
[데이터센터]IDC 서비스란 무엇일까?
[아마존 서울 데이터센터 가동 시작], [국내 최초로 인터넷데이터센터 서버 발생 열 소양강물로 식힌다], [...
blog.naver.com
https://brunch.co.kr/@olivia0905/9
서버란 무엇인가?
컴알못(a.k.a 컴퓨터를 알지 못하는)을 위한 쉬운 설명서! | 사실 컴퓨터 - 잘 알지 못했고, 별로 관심도 없었던 내가 컴퓨터 공학과에 처음 진학해서, '서버'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이해하기
brunch.co.kr
https://mandoitnote.tistory.com/2
02 서버 - 서버의 종류
해당 글은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를 정리한 글입니다. 2장 서버- 서버의 종류 서버의 형태로 구분 : 랙마운트형과 타워형 서버의 차이 1. 랙 마운트 형 서버 랙 마운트 형 서버란? - 랙안에 들
mandoitnote.tistory.com
https://ko.natapa.org/difference-between-tower-and-rack-server-2053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B%B2%84
서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뒤에서 볼 수 있는 오페라 서버 랙 서버(영어: server)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램(server program) 또는 장치(device)를 의미한다.
ko.wikipedia.org
https://jootc.com/p/202005243507
'STUDY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배우자! WEB] WEB Server와 WAS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7.26 |
---|---|
[쉽게 배우자! WEB] 서버(Server)에 대해 알아보자 2탄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