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해봅시당

[쉽게 배우자! WEB] 서버(Server)에 대해 알아보자 2탄 본문

STUDY/WEB

[쉽게 배우자! WEB] 서버(Server)에 대해 알아보자 2탄

tngus 2021. 7. 19. 09:30

IDC(Internet Data Center)

 

이전 시간에 서버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타워형 서버와 랙형 서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타워형 서버와 랙형 서버를 알아보기 전, 서버의 이미지에 대해 떠올려 보자.

 

보통 서버라고 하면 아래 사진처럼 불리는 곳을 먼저 떠올릴 것이다.

 

 네이버 데이터 센터

이것을 우리는 IDC, 즉 Internet Data Center라고 부른다.

 

IDC는 인터넷 연결의 핵심이 되는 서버를 한 데 모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을 때 설립하는 시설을 말한다.

 

IDC를 통해 온라인 게임의 운영에 필요한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 등을 제공하는데, 다른 말로는 서버 호텔이라고도 한다.

 

서버 호텔이라는 말을 들으니 더 와닿지 않은가?

 

규모가 큰 호텔에서 손님들이 비용을 치루면 방을 가격에 비례하게 빌려주는 것처럼 IDC도 그런 개념으로 쓰였다.

 

서버는 전세계인이 24시간 내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정전이 되어서도 안되고, 고장이 나서도 안된다.

 

이를 각 기업이 운영하는 것은 상당히 까다로운 일일 것이다.

(TMI : 기존에는 각 기업이 운영했다고 한다.)

 

따라서 IDC에서 대신 서버를 관리해주고, 서버를 대여하는 기업에서 값을 치루는 형식으로 많이 이용하였다.

 

실제로, 초창기 온라인 게임에서는 게임사가 직접 일정 대수의 서버 컴퓨터를 확보하는 식으로 운영했었다.

하지만 유저수가 줄어들면 불필요한 서버의 유지비용이 부담되기 때문에 서버에 따른 서버 운영 비용을 줄이기 위해 IDC의 서버를 임대하는 식으로 유저 수의 변동에 따른 비용을 줄이기도 한다.

 

오늘날 대기업에서는 폭등한 접속자 수와 유저의 요구에 맞춰 자사 만의 IDC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그 예시로 위 사진에서 이미 본 네이버 IDC가 있다.

 

앞에서 서버는 전세계인이 24시간 내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정전이 되어서도 안되고, 고장이 나서도 안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IDC는 정전 등으로 인해 서버가 멈추면 안되기 때문에 절대 정전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만에 하나에 대비하기 위해 IDC는 전력 공급 업체로부터 우선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가 하면, 여러 발전소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한다.

 

 

(추가적인 내용은 링크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inxtime&logNo=220648265067 )

 


랙형 서버와 타워형 서버

 

여기서 다시 한 번 전에 살펴본 내용을 짚고 넘어가 보자.

 

서버는 역할의 개념이라고 했다.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고, 반대로 클라이언트도 서버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집 PC 혹은 노트북이 서버가 될 수도 있는 것 아닐까??

 

보통 우리가 서버를 떠올릴 때 위와 같은 사진을 떠올리기 때문에 우리집 노트북은 서버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아니다.

 

우리집 노트북도 서버가 될 수 있다.

 

서브 역할 즉, 클라이언트에게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만 있으면 말이다!

 

우리가 많이 들어본 '아파치 톰캣'도 서브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다시 위의 사진을 살펴보도록 하자.

 

우리집 컴퓨터도 서버가 될 수 있다고 했는데 우리집 컴퓨터와 생긴 것이 달라도 너무 다르다.

 

서버는 크게 TOWER형과 IDC에서 사용하는 RACK형이 있다.

 

랙형은 랙마운트형이라고도 부른다. 실제로는 이렇게 생겼다.

 

 

랙 마운트형 서버는 데이터 센터나 서버 룸에 설치된 랙 안에 들어간다.

 

위에서 본 IDC에 있는 서버가 랙마운트 서버인 것이다.

 

수많은 서버를 관리해야 하는데 타워형 서버처럼 크면 공간 차지가 심하기 때문에 랙마운트형 서버는 19인치 랙에 수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반면 타워형 서버는 사내 서버 룸에 설치되거나 사무실 또는 점포 등에도 설치된다.

 

타워형 서버는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PC와 닮아있지만 차이점이 있다.

 

그렇다면 TOWER형 서버와 일반 PC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바로 부품이다.

 

서버는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이 되기 때문에 직접 사용하기보다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컴퓨터인 것이다.

 

따라서 가장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 된다.

 

장비의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유지력 높은 부품을 사용하고, 서버 내의 부품들을 전원을 끄지 않고 교체 가능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더 알아보기

 

보통 PC와 워크스테이션, 서버로 나누어 3개를 비교하지만 여기서는 PC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였다.

 

워크스테이션도 알고 싶은 분은 쉽게 잘 설명이 되어있는 영상을 추천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https://www.youtube.com/watch?v=zPz25e7ktgA 

 

그럼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빠잉!

 


참고 자료

https://ko.natapa.org/difference-between-tower-and-rack-server-2053

https://sepiros.tistory.com/9

 

서버

서버란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하드웨어를 말한다. 서버는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의 주축이 된다. 인프라 구축을 검토하는 모든 현장에서 서버 선정은 복잡하고 어려운 주

sepiros.tistory.com

https://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2201/

 

가비아 라이브러리

IT 콘텐츠 허브

library.gabia.com

https://givemesource.tistory.com/143

 

2. 서버

다른 개발자로부터 이해 받길 원하기 보다는 이해 하기를 우선으로 하라! : 서버란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하드웨어를 말한다. : 형태의 차이, 등급의 차이, 물리서버가 아닌 형

givemesource.tistory.com

https://rrhh234cm.tistory.com/56

 

인프라 기초지식 3. 서버의 종류

서버의 형태에는 랙 마운트형 서버 와 타워형 서버가 있다. 랙 마운트형 서버 - 데이터 센터, 서버룸에 설치된 랙 안에 들어간다. - 19인치 랙에 수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 1U, 2U와 같은 유닛 단

rrhh234cm.tistory.com

https://mandoitnote.tistory.com/2

 

02 서버 - 서버의 종류

해당 글은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를 정리한 글입니다. 2장 서버- 서버의 종류 서버의 형태로 구분 : 랙마운트형과 타워형 서버의 차이 1. 랙 마운트 형 서버 랙 마운트 형 서버란? - 랙안에 들

mandoitnote.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zPz25e7kt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