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TUDY (106)
공부해봅시당
1차원 배열 2개 사용 장점 1. 간단한 데이터 구조 데이터가 단순하고 관리하기 쉬울 때 유용함 2. 접근 속도 1차원 배열은 메모리 내에서 연속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접근 속도가 빠를 수 있음 3. 메모리 사용 특정 상황에서는 2차원 배열에 비해 메모리 사용이 더 효율적일 수 있음 (예: 각 배열의 크기가 다른 경우) 단점 1. 복잡한 관계 표현의 한계 데이터 간 복잡한 관계를 표현하기 어려울 수 있음 2. 데이터 구조의 유연성 두 배열 간의 관계를 코드로 명시적으로 관리해야 함 2차원 배열 1개 사용 장점 1. 복잡한 데이터 구조 표현 데이터 간의 복잡한 관계를 쉽게 표현할 수 있음 (예: 매트릭스, 테이블, 그리드 등) 2. 데이터 관리 관련 데이터를 하나의 구조 안에서 관리할 수 있어 코드의 가독..

UML 관계 종류 요약 1. 일반화 관계(Generalization Relationship) 2. 실체화 관계(Realization Relationship) 3. 의존 관계(Dependency Relationship) 4. 연관 관계(Association Relationship) 4-1. 직접 연관(Directed Association Relationship) 4-2. 집합 연관(Aggregation Relationship) 4-3. 복합 연관(Composition Relationship) 관계명 설명 관계 일반화 관계(Generalization Relationship) 일반적인 것(동물)과 특화된 것(포유류)과의 관계 상속 실체화 관계(Realization Relationship) 인터페이스와 그것을 ..
명령형 프로그래밍 = 어떻게 명령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처리 방식을 모두 설명함 예시 루프를 사용하여 각 요소를 순회하고, 각 단계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시적으로 지정함 List numbers = Arrays.asList(1, 2, 3, 4, 5); int sum = 0; for (int number : numbers) { sum += number; // 각 숫자를 sum에 더함 } System.out.println(sum); // 출력: 15 장단점 장점 1. 명확한 흐름 제어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알고리즘의 각 단계와 작업 흐름을 명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해줌 특히 복잡한 알고리즘과 로직을 구현할 때 유용할 수 있음 2. 직관적인 이해 프로그래밍 경험이 많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명령..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https://leezzangmin.tistory.com/42 nGrinder + Springboot 부하 테스트 튜토리얼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측정해보고자, 네이버에서 만든 (오픈소스 + 무료 + 한글 + Java스러운 Groovy 스크립트 지원 + 자료가 그나마 많은) 부하테스트 툴 nGrinde leezzangmin.tistory.com 최종으로 수정한 코드 시간 없으신 분들은 아래 코드로 multipart/form-data의 최종 코드를 확인하고 적절히 수정하여 사용하길 바람 import static net.grinder.script.Grinder.grinder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imp..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https://leezzangmin.tistory.com/42 nGrinder + Springboot 부하 테스트 튜토리얼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측정해보고자, 네이버에서 만든 (오픈소스 + 무료 + 한글 + Java스러운 Groovy 스크립트 지원 + 자료가 그나마 많은) 부하테스트 툴 nGrinde leezzangmin.tistory.com 지금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채팅이 주가 되어 진행되는 서비스이므로 채팅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남 따라서 채팅과 관련한 시나리오를 1차적으로 수립하고자 함 채팅 전체 시나리오 로그인 친구 목록 리스트 조회 채팅방 목록 조회(채팅방 상단 고정 목록 조회가 동시에 일어남) 채팅방 접속(채팅 메시지 내역..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https://leezzangmin.tistory.com/42 nGrinder + Springboot 부하 테스트 튜토리얼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측정해보고자, 네이버에서 만든 (오픈소스 + 무료 + 한글 + Java스러운 Groovy 스크립트 지원 + 자료가 그나마 많은) 부하테스트 툴 nGrinde leezzangmin.tistory.com 부하 테스트(stress test) 란 서버가 얼마만큼의 요청을 견딜 수 있는지 테스트하는 방법 작성한 API 에 병목 현상과 얼마 만큼의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자 스트레스 테스트를 작성 가장 중요한 것은 작성한 코드에 문법적, 논리적 오류가 없더라도 실 운영 상황에서..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https://leezzangmin.tistory.com/42 nGrinder + Springboot 부하 테스트 튜토리얼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측정해보고자, 네이버에서 만든 (오픈소스 + 무료 + 한글 + Java스러운 Groovy 스크립트 지원 + 자료가 그나마 많은) 부하테스트 툴 nGrinde leezzangmin.tistory.com Performence Test 메뉴에서 Create Test 클릭 아래와 같이 설정함 테스트 이름은 test - Agent 는 1개(띄운게 많으면 최대치도 늘어남) - Vuser는 10명 - 사용할 스크립트 test.groovy (미리 생성한 스크립트) - 1분동안 실행 시간대신 횟수로 하려면 ..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https://leezzangmin.tistory.com/42 nGrinder + Springboot 부하 테스트 튜토리얼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측정해보고자, 네이버에서 만든 (오픈소스 + 무료 + 한글 + Java스러운 Groovy 스크립트 지원 + 자료가 그나마 많은) 부하테스트 툴 nGrinde leezzangmin.tistory.com 테스트 스크립트는 상단 메뉴바에서 Script를 선택해 들어가 작성하면 됨 여기서 +Create 버튼 -> Create a script 클릭 대강 스크립트 이름을 test로 진행해보자 그럼 자동으로 이런 스크립트가 만들어짐 자동으로 생성된 파일의 이름을 살펴보면 확장자가 groovy인 것을 알 ..